본문 바로가기

좋은 글

강의25) 완벽주의도 잘못 형성된 방어 기제다.

잘하는 것으로 남을 돕고 남의 도움으로 부족한 것을 채우면서 사는 것이 잘사는 삶이다. 

 

완벽주의란 잘못 심어진 믿음이다. 아직 자아가 성장하지 못한 상태에서 어렸을 때 받은 상처를 가리고 덮기 위해 생긴 방어 기제 중 하나다.  어렸을 때 생긴 이러한 잘못된 믿음이 나의 정체성을 만들면 성인이 돼서도 이러한 방어 기제가 내 삶에 그대로 영향을 준다. 

 

사람은 완벽할 수 없는 존재다.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인간이라는 종은 다른 종에 비해 굉장히 약하고 힘이 없는 존재다. 이러한 인간이 모든 종 위에 설 수 있었던 것은 서로 협력을 할 수 있었던 까닭이다. 한 사람 개인은 약하고 힘이 없지만 그 개인이 뭉치고 뭉쳐서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우리 삶도 마찬가지다. 나 혼자서도 잘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그것은 착각이다. 혼자하는 것 같아도 알게 모르게 다른 사람이 이미 만들어 놓은 길을 우리가 걷고 있는 것이다.  무에서 유를 만드는것은 그리 흔한 일이 아니다.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것에 이미지를 확장하고 더해서 새로운 것을 발견할 뿐이다.  

 

완벽을 최고가 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과정이라고 포장하고 싶지만 이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행동에 불과하다.

완벽을 기하려는 자세는 자기 성취나 성장과도 다른 모습이다. 자기 성취는 누가 알아주기를 바라고 일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만족 때문에 일을 하는 것이다. 자기 성장도 목표한 것의 실패나 성공과 상관 없이 그 과정에서 배운 것에 의미를 두고 스스로 만족하는 마음이다.  그러나 완벽은 다르다.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내야 다른 사람들의 비난이나 비판을 피하거나 적어도 줄일 수 있다는 마음에서 시작하는 자세다. 완벽을 추구한다는 것은 추진하던 일이나 도모하던 일의 평가를 남에게 맡기겠다는 마음이다. 반면 자기 성장과 자기 성취는 자기가 스스로를 판단하고 거기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다. 

 

재능 기부 차원에서 '스피치' 강의를 무료로 개설한 선생님의 첫 인상은 예상대로 똑부러지는 모습이셨다. 문자를 처음으로 주고 받았을 때도 조금 달랐다. 선생님이 사시는 아파트에 장소를 마련하셨는데 아파트 주민이 아니면 만 원을 내야 하는 규칙이 있다고 하신다.  아까우니 본인의 동과 호수를 알려줄테니 그걸 대고 그냥 들어오라고 하셨다. 어떻게 생각하면 아무것도 아닐 수 있지만 얼굴도 보지 못한 사람에게 집 동과 호수를 알려주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만 원이라는 돈도 어떻게 보면 큰 돈이지만 남의 돈 만 원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는 돈이다. 선생님은 그렇지 않으셨다. 그런것이 마음에 들어 뵙고 싶었는데 역시나 기대와 같았다. 수업을 3개월 정도 들었다. 선생님께서 수업 중간중간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셔서 알게 됐다. 선생님이 완벽주의자셨다.  말도 잘하시고 하시는 일도 잘하셔서 빨리 진급도 하셨고 뭐 하나 빠질 게 없어 보이셨는데 계속 무언가에  대한 갈증을 호소하셨다. 내가 그걸 보고 느낀 감정은 단 하나다. "나보다 훨씬 안정적인 직업에 능력 인정 받아 잘 나가시고 이렇게 재능 기부까지 하시는 선생님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궁금했다. 그리고 수업을 하면서 알 수 있었다. 어린 시절 부모님에게서 받은 질책과 안 좋았던 정서를 무마하기 위해 스스로가 만들어낸 것이 완벽주의였다. 최근에 내 강의를 알려드리기 위해 뵌 적이 있다. 요즘은 우울증으로 좀 힘들다고 하신다. 마음이 아프다. 왜 우리는 하루종일 붙어 있고 매일 같이 생활하면서도 자신의 진짜 모습을 보지 못하는 걸까? 

 

완벽한 상태는 우주에도 지구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우주에 불확실성이 많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분들이 지금 이시간에도 그 불확실성을 찾기 위해 서로 협력을 하고 있다. 우리가 사는 세상 또한 완전한 상태가 아니기에 우리가 할 일이 있고 그 일을 이어 받아 미래 세대가 할 일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내가 잘하는 재능으로 도울 일이 있으면 그것이 사회에서 내가 맡은 책임이자 역할이다.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내 모자람을 채우는 것도 다른 사람이 내게 줄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이렇게 서로 도우는 것이 생존에 더 유리하다.